
Cookie란 무엇일까 ? 쿠키란 말 그대로 "먹다가 흘린 쿠키" 처럼 생각하면 된다 . 쉽게 생각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시도한 흔적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http 프로토콜은 하나의 서버에 수많은 클라이언트가 붙게 되면 서버 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브라우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응답 요청이 종료되면, 연결을 해제한다. 하지만 로그인 페이지나, 쇼핑몰같은 페이지에서 내가 웹페이지에 정해둔 정보가 새로고침할 때마다 초기화 된다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이를 위한것이 바로 '쿠키'이다. 쿠키는 일단, 서버에 저장되지 않고 브라우저 (클라이언트) 에 저장된다. 쿠키에는 기존의 연결 정보들이 저장되며, 나중에 다시 접속 시, 이 쿠키를 가지고 과거의 접속을 이어나갈 수 있다! ..

- jsp와 servlet 의 차이점 하지만 결국 둘 다 java 파일 -> class 파일로 컴파일 되기 때문에 jsp도 일종의 serlvet으로 볼 수 있다. jsp 스크립트는 만들어진 jsp 파일 내에 (html로 되어있음) 자바 소스를 삽입하고, 다른 jsp 파일을 삽입하는데 쓰인다. 그러면 jsp 주요 스크립트들을 하나씩 살펴보자. 먼저 jsp 파일을 을 생성해주면 이런 기본 화면이 나온다. 1. 지시어 로 묶어준다. page language는 속성키워드이고, 속성값은 java이다. 위의 지시어를 해석하자면 "이 페이지는 자바 언어를 쓰고 contentType은 text/html이며, 캐릭터 타입은 EUC-KR (UTF-8도 상관없음)을 쓰고, 페이지 인코딩은 EUC_KR을 쓴다. 라고 해석이 ..
Servlet 맵핑은, 복잡하고 Servlet의 위치를 모두 노출시키는 url 대신에 간단한 문자로 맵핑을 해서 간결하게 하는 것이다. 맵핑에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다 1. xml 소스에 추가하기 servletEx //서블릿 네임 지어주기 개발자 마음 com.servlet.ServletEx //서블릿 full path // com.servlet == 패키지 이름 , ServletEx ==Servlet 이름 servletEx //해당 네임을 가진 서블릿을 /SE // /SE 로 맵팽 하겠다 2. java annotation @WebServlet("/SE1") 서블릿 자바 소스에 이렇게 추가하면 된다. 만약 xml 소스로 맵핑을 하고 java annotation으로도 맵핑을 했는데 다르게 맵핑을 했다면 두..